-
항체의 생성 원인과 분류의학정보 2020. 3. 14. 00:42300x250
오늘은 항체의 생성원인에 따른 분류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항체는 왜 생성되는가?
항체는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에 의해 우리몸에서 면역반응이 일어나 생성되는 물질로
외부물질에 대한 항체는 그 외부물질과 반응하게 되어있다.
항체와 외부물질(항원)이 결합하면 이는 식균작용이 일어나고 항원이 파괴된다.
항체의 생성원인에 따른 분류
1. 이종항체 (Hetero antibody)
종이 다른 생물에서 유래되는 항원의 자극으로 인해 생성되는 항체를 말하는 것으로 우리몸에 침입하는 외부물질들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쉽게말해, 바이러스나 세균과 같은 전염성이 있는 병원체가 사람에게 감염되었을 때 그에 반응하여 우리몸에서
생성되는 물질이다.
2. 자가항체 (Auto antibody)
자기 자신의 체내성분과 반응하는 항체를 말하는 것이다.
후천성 용혈성 빈혈의 경우 자기 자신의 적혈구와 결합하는 항체가 혈액 내에 존재하여 자기자신의 항원과 항체가
반응을 일으키고 보체에 의해 용혈되는 질환이다.
3. 불완전항체
IgG 라는 항체를 다른말로 불완전항체라고 부른다. 이 항체는 유일하게 태반 통과성 특징을 보여준다.
입자 항원에 대응하는 항체는 입자항원과 반응하여 응집을 유발하는 것이다.
불완전항체란? 항체와 항원이 결합하였으니 응집을 일으키지 못하는 항체를 얘기한다.
흔히 우리가 혈액형 검사할 때 이용하는 검사법을 생각하면 쉽다.
혈액형 검사할 때 기본적인 A형, B형, O형, AB형 등 이들은 모두 IgM 계열의 항체이며 이 항체들은
실온에서 항원과 결합하여 응집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IgG의 항체는 이와 반대로 이들과 다르게
응집이 거의 되지 않지만 응집이 되어도 육안으로는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불완전항체라고 부르는 것이다.
4. 동종항체
같은 종에서 유래한 항원의 자극으로 생성된 항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사람과 사람간에 경우 수혈을 하면
수혈한 혈액형이 다를경우 응집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Rh음성인 사람에게 Rh양성 혈구를 수혈할 경우
Rh음성인 사람은 Rh항원이 없었기 때문에 Rh항원이 있는 Rh양성 혈구를 수혈받을 경우 Rh양성혈구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생성된 항체를 동종항체라고 부른다.
반응형'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면역력을 높여야할까? 림프기관 그리고 면역세포 (0) 2020.03.15 면역반응과 항체생성의 관계 (0) 2020.03.14 항원의 분류(암, 그리고 바이러스) (0) 2020.03.13 바이러스로부터 생기는 면역반응 (0) 2020.03.12 바이러스 (항원)으로 작용하는 물질 (0) 2020.03.12